취업의 조건

사회는 2015. 9. 4. 17:57

 

7. 자격증 : 3개 이상은 갖출 것, S급 자격증에 올인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

 

자격증에도 급이 있습니다.

 

곧바로 취업에 골인할 수 있는 대표적 자격증은 최소 1년, 길게는 몇년을 쏟아야하는 자격증들인데요.




예컨데 CPA, CFA, 보험계리사, 손해사정사, 노무관리사, 관세사.. 등등이 있겠습니다.

그리고 CFP 같은 자격증도 상당히 도움이 되죠.

공대에는 각종 기사자격증이 대표적인데요. 특히 화공/기계 쪽은 쌍기사니 삼기사니.. 하면서..

기사 자격증 갯수로도 취업 성패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이런 자격증외에는 그냥 자신의 관심 정도를 표현해주고, 어떤 것들은 실력향상에 도움되는 정도라고 해두죠.

짧게는 몇일~ 길게는 몇개월 공부해서 딸 수 있는 자격증들 말입니다.

물론 따놓으면 다 도움은 되지만 아주 크게 영향은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3개이하라서 자격증 칸을 다 채우지 못한다면 감점을 받는 기업도 있으니, 3개 이상은 따놓으세요.

컴퓨터자격증 하나와 취향과 학과와 산업군에 맞춰서 한두개 따놓으셔도 됩니다.

 

물론 위에 말한 몇년 투자하는 자격증을 따시려고 올인하는 것도 괜찮은 수이기도 하구요.

요즘은 한국사 1, 2급의 중요성이 아주 높아졌습니다. 단순히 공기업 취업에서 뿐만 아니라 사기업에서도 대기업 중심으로 역사관을 묻는 문제/논술 출제, 그리고 한국사 자격증의 플러스점수 등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한국사 자격증은 하나 따놓으시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8. 공모전 및 각종 대회 입상 경력 : 꼭 참여 해봤으면 함 ^-^

 

개인적으로 경험의 측면에서 꼭 했으면 하는 것입니다.

 

각종 대회라는 것은 논술 대회, 어학 대회에서부터 이과에서는 로봇경진대회 같은 전공 대회를 일컫습니다.

공모전은 말그대로 공모전인데, 한해에 수백개의 공모전이 쏟아져나오지만,

정말 관심을 갖게되는 대규모 공모전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문과쪽에서는 KOSAC(광고공모전), 신세계유통프론티어, 롯데공모전 등등이 생각이 나네요.

어쨌든 이렇게 좋은 타이틀의 공모전은 정말 최고입니다.

혜택도 있구요. 보통 인턴을 할 수 있다던지 하는 혜택이 주어지니까, 잘 알아보고 꼭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